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🏠 2025 주택임대차계약 신고 방법 및 과태료 안내 : 최대 300만원

by 햇살담은나 2025. 6. 25.
반응형

🏠 2025 주택임대차계약

신고 방법 및 과태료 안내 : 최대 300만원

2025년 6월 1일부터 주택임대차계약 신고법적 의무가 되었습니다. 미신고 시 최대 3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니, 기간 내 신고 방법을 꼭 확인하세요!

📌 신고 기간 및 대상

  • 신고기간: 계약일 기준 30일 이내
  • 대상: 보증금 6천만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원 초과 주택 임대차 계약
  • 지역: 수도권, 광역시, 세종, 도 단위 시
  • 계약서 제출 시 임대인 또는 임차인 1명만 신고해도 공동신고 처리

📝 신고 방법

  • 방문 신고: 관할 주민센터 방문
  • 온라인 신고: RTMS 접속 → 공동/간편 인증 → 정보입력 → 계약서 첨부 → 전자서명
  • 전자계약: 공인중개사 통한 전자계약 시 자동 처리

⚠️ 과태료 기준

계약금액 지연기간 3개월 이하 지연기간 2년 초과 거짓 신고
1억 미만 2만원 10만원 100만원
1~3억 3만원 15만원 100만원
3~5억 4만원 25만원 100만원
5억 이상 5만원 30만원 100만원

💡 주의사항

  • 갱신계약도 보증금·월세 변경 시 신고 필수
  • 계약서 미첨부 시 확정일자 미부여
  • 전입신고와 별도 절차, 혼동 주의

💬 결론

주택임대차계약 신고는 보증금을 보호하고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필수 절차입니다. 정확한 신고로 과태료를 피하고 안전한 거래를 완성하세요!

2025 주택임대차계약 신고 방법 및 과태료 안내 : 최대 300만원 관련 사진

반응형